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ensorFlow
- 스페인어학습지
- pytorch
- MTBE
- 파이썬
- 대조학습
- OCR
- document layout analysis
- 환급기원
- 티스토리챌린지
- pytorch forward
- document parsing
- Monte Carlo
- MCTS
- 딥러닝
- AlphaGo
- 문서 파싱
- metric learning
- 오블완
- feature vector
- pytorch hook
- 스터디미니
- text embedding
- 강화학습
- Python
- pytorch forward 디버깅
- 알파고
- pytorch forward 연산
- permutations
- 순열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
Learn And Earn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화학습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인 Markov Decision Process를 강화학습의 세팅에서 설명해보려 합니다. 또 이를 설명하며 강화학습의 기본적인 세팅을 설명해보겠습니다. 강화학습이란? 흔히들 기계학습이라고 하죠. 머신러닝을 분류할 때 label을 주는지의 여부에 따라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으로도 분류하지만, 제 3의 분류군으로 강화학습이 언급됩니다. 강화학습은 2016년 이세돌과 멋진 승부를 나눈 알파고 모델도 강화학습을 적용한 좋은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이 강화학습은 일반적인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다른 머신러닝 모델과 다르게 정말 순수하게 데이터만 풍부하게 있다면 원하는 task를 잘 수행해내는 agent를 학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Robotics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순열과 조합중, 순열 함수를 직접 구현을 함께 해보겠습니다. 파이썬의 itertools 모듈에는 combinations, permutations함수가 이미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를 단순히 사용하기만 하는 것은 python.org등의 공식 문서를 참조하면 되기에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순열의 정의, 우리가 일상속에서 그러하듯 그룹에서 그 부분집합을 추출하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가능한 가능성을 코드로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조합함수(combination)를 함께 구현해보겠습니다. 순열이란 무엇인가요? 순열의 정의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Permutatio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

이번 포스팅에서는 순열과 조합중, 조합 함수를 직접 구현을 함께 해보겠습니다. 사실 파이썬 기본 라이브러리중 itertools 모듈에는 combinations, permutations함수가 이미 정의 되어 있습니다. 이를 단순히 사용하기만 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순열과 조합의 정의, 우리가 어떠한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가능한 모든 표본의 가능성을 코드로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조합함수(combination)를 함께 구현해보겠습니다. 조합(Combination)이란 무엇인가요? 조합의 정의를 함께 살펴볼까요? 대학 이전에서의 표기법은 nCk 로 주로 표현합니다. 또 대학 이후에서는 주로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표기됩니다. 모두 읽을 때에는 n comb..

"나 보려고 쓰는 딥러닝" 카테고리에서는 딥러닝의 가장 핵심적인 이론, 또 그의 응용분야(image, sequential-data)에 따른 variation의 모델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또한, tensorflow, pytorch와 같은, 딥러닝이 들어가는 데에 아주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의 사용법도 함께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이러한 오픈소스를 이용할 때에 발생하는 사소한 기술적인 문제들의 해결방법 및 소소한 팁 또한 다뤄볼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오일러 프로젝트 35번 문항을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항을 풀기 위해서는 파이썬에서의 string 객체의 성질을 활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장 기본적인 제어문인 반복문, 조건문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상황 파악 먼저 문제를 함께 읽어보도록 하죠. The number, 197, is called a circular prime because all rotations of the digits: 197, 971, and 719, are themselves prime. There are thirteen such primes below 100: 2, 3, 5, 7, 11, 13, 17, 31, 37, 71, 73, 79, and 97...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결리스트의 추상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DT를 다루면서 오늘은 Public Function, Private Function, API의 개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연결 리스트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스택, 큐와 같은 자료구조는 특정한 위치에서 자료에 접근할 수 있고, 특정한 위치에 자료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연결리스트와 배열은 위의 기능들을 원하는 위치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어떠한 위치에도 item에 접근 추가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Generalized list라고 불립니다. 배열은 데이터를 추가, 삭제할 때 있어 수행해야 하는 기능의 시간복잡도가 높다는 점, 메모리가 비효율적으로 사용이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