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lphaGo
- 티스토리챌린지
- MCTS
- pytorch hook
- 파이썬
- 딥러닝
- pytorch
- TensorFlow
- 순열
- MTBE
- 환급기원
- 대조학습
- 스터디미니
- feature vector
- OCR
- pytorch forward 연산
- document parsing
- 오블완
- Python
- 알파고
- 문서 파싱
- 강화학습
- 스페인어학습지
- text embedding
- pytorch forward
- Monte Carlo
- permutations
- pytorch forward 디버깅
- metric learning
- document layout analysis
- Today
- Total
Learn And Earn
엡실론델타 정의(1) - 소개 본문
1학년 이공계열 학생들이 수학이 싫어지는 순간, 바로 극한의 엄밀한 정의인 '입실론 델타 정의'를 마주하게 되는 첫 수업날입니다.
먼저 정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역하자면, 함수 f가 x=a에서 극한값L을 갖는다는 말은, 임의의(즉, 모든)양수 입실론에 대하여|x-a|이 양수 델타보다 작을 때, |f(x)-L|이 엡실론보다 작은 양수 델타가 존재한다는 말입니다.
..정의를 처음 봤을 때에는 무엇을 정의하는지조차도 몰랐습니다. 모든, 항상, -때, 어떤, 존재한다등의 키워드들이 떡칠이 되어있는 정의이죠. 그 만큼 호흡을 길게 갖고 정의를 읽어야합니다.
(아니 뭐 극한그냥 머 그래프 그려서 왼쪽 오른쪽 둘다 같은 곳으로 가면 극한값 존재하는거 아니야? 왜 이렇게 사서 고생이야 이 아저씨들은..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함수의 '정의역이 어떤 집합인지'는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가 흔히 아는 그래프의 모양도 , 혹은 떠올릴 수 있는지 조차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엄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ㅠㅠ.)
이 정의를 호흡을 길게 갖고 읽은 후, 손으로 여러 번 써본후에 밑으로 스크롤합시다.
.
.
.
.
.
.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방법들에는 최대한 단순한 예시를 찾고 그 예시를 시각적으로 구체화하기가 있습니다.
그 방법을 통해 엡실론 델타 정의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먼저 살펴 본 후, 명제의 역과 비교해보고, 마지막으로 극한의 정의가 짜증나지만 이러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
'수학 >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엡실론 델타 정의(2)- 자세히 살펴보기 (1) | 2018.07.31 |
---|